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번(간편 정리)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 계산기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르바이트 하다보면서 주휴수당을 받아 보신적이 있나요? 저도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주휴수당은 받아본적이 없는데, 근로기준법에 의한다면 당연히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어요. 아르바이트를 하시면서 주휴수당을 못 받으신 거에요.
그래서 오늘은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 계산기에 관련된 내용을 탐구하겠습니다. 이 문서를 모두 읽어주시면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 계산기를 이해하시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 계산기의 정보가 필요하시면 모두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쪽에서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 계산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 개념
주휴수당이란, 일주일간 근로자가 계약된 근무일수를 출근하여 근무하게 된다면 1일분의 임금을 추가로 수령 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합니다. 그 말은 즉슨 출근하여 일을 하진 않았지만, 임금이 지급되는 유급휴일이 1주일에 1회 부여 되는 것입니다. 이를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단, 일정 조건 부합될 경우에만 주휴수당이 지급 됩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주휴수당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주휴수당 지급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위에서 빨간색으로 일정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만족한 근로자에게 1주일에 1일의 유급휴가가 부여된다고 언급 하였었는데요.그렇다면 어떠한 주휴수당 지급기준을 만족해야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볼까요?
주휴수당 지급기준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아래에 지급기준을 명시하였습니다.
|
위에서 설명드린 2가지의 주휴수당 지급기준만 충족 된다면 주휴수당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최근 개정내용)
주휴수당 지급기준이 2021년 8월 4일에 새로 개정되었습니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행정해석이 변경된것인데요.
개정된 주휴수당 지급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존의 주휴수당 지급기준에 따르면 다음 주 근로가 예정되어 있어야지만 이번 주 근무에 대한 주휴수당이 지급되었는데, 개정된 내용은 다음 주 근무가 예정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더라도 이번 주 근로관계가 유지되고 있다면 주휴수당 지급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는 것으로 개정되었습니다. 아래에서 주휴수당 지급기준이 개정된 후의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개정 후 예시
주휴수당 지급기준이 개정된 후의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정 후(주휴일이 일요일인 경우)
1. 금주 만근하고 다음 주 월요일 이후 퇴사하는 경우 주휴수당 지급
월요일 ~ 금요일 (금주) |
금주 일요일 | 다음주 월요일 퇴사 |
근무 | 주휴수당 지급 | - |
2. 금주 만근 했지만 이번 주에 퇴사하는 경우 주휴수당 미지급
월요일~금요일 (금주) |
금주 토요일 or 일요일 퇴사 |
근무 | 주휴수당 미지급 |
개정 전(주휴일이 일요일인 경우)
1. 금주 만근 후 다음 주 월요일 퇴사하는 경우 주휴수당 미지급
월요일 ~ 금요일 (금주) |
일요일 (금주) |
다음주 월요일 |
근무 | 주휴수당 미지급 | 퇴사 |
2. 금주 만근 후 다음주 화요일(포함) 이후 퇴사하는 경우 주휴수당 지급
월요일~금요일 (금주) |
일요일 (금주) |
다음주 월요일 | 다음주 화요일 |
근무 | 주휴수당 지급 | 근무 | 퇴사 |
주휴수당 지급기준 개정 후 간단히 요약 (변경후)
주휴수당 지급기준이 개정 된후를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하지만 변경된 지급기준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 몇가지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약직, 아르바이트생도 주휴수당 지급?
주휴수당은 정규직, 단기계약직, 장기 계약직, 아르바이트생 등 관계없이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기준만 충족된다면 지급 됩니다.
주 4일 근무시 주휴수당 지급?
계약된 일주일 근로일이 4일이며, 일주일 근로시간이 총 15시간 이상이라면 주휴수당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계약 근로 시간은 주 15시간 이상이지만 경영자의 판단으로 축소 근무하여 주 15시간 미만 근무하게 되었다면?
유급휴가 지급기준을 충족하게 되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영자의 입장에서 보자면 안타까운 상황이지만 계약이 주 15시간 이상으로 되어있고, 근로자의 과실로 계약 근로시간을 채우지 못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휴수당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계약근로 시간은 주 14시간, 실제 근로는 주 16시간이라면?
회사 사정으로 인하여 연장 근무하게 되었고, 주 근로시간이 15시간 초과한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초과 2시간은 연장 근무 수당으로 보상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주휴수당 지급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주휴수당은 받으 실수 없습니다.
아르바이트생이 지각 조퇴를 했다면?
지각, 조퇴를 했더라도 출근을 했다면 그날은 근무한 것으로 판단 하셔야합니다..
지속적으로 언급하지만 주 15시간 이상 근무 + 계약 근로일에 출근하여 근무하였다면다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 30시간 일했으나 1일 결석은?
계약된 소정의 근로일을 채우지 못하였기 떄문에 주휴수당 지급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주휴수당을 지급 받을 수 없습니다.
알바 1명 고용한 편의점 사장인데?
5인 미만 사업장은 예외되는 근로기준법 항목들이 있습니다. 다만 주휴수당 지급의 경우 5인미만 사업장이라도 반드시 지급하여야 합니다다. 참고로 최저임금, 해고예고 의무 등과 같은 근로기준법 도 5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꼭 준수해야만 합니다.
주휴일과 법정공휴일이 겹친다면?
주휴일이 법정공휴일이라면 1일의 유급휴가 비용만 지급하면 됩니다.사내 별도의 규정으로 추가 지급하게 되었다면 그렇게 하시면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산법을 이해하기 편하도록 예시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을 알아보기 전에 아래 2가지 사항을 숙지하셔야 합니다.
1. 1일 8시간 외 연장근로는 주휴수당에 포함되지 않음. 2. 주 5일 근무했다고 가정하고 계산하여야 함. (주 3일 24시간 일한 경우 24시간 ÷ 5일 = 4.8시간, 1일 4.8시간 일한 것으로 가정) |
아래 예시와 함께 주휴수당을 계산 하여 보겠습니다.
예시1. 주 3일 20시간 근무, 시급 만원
월 | 화 | 수 | 목 | 금 |
8시간 | 휴무 | 8시간 | 휴무 | 4시간 |
예시1. 주휴수당 계산법
- 1일 근로시간 계산 : 20시간 ÷ 5일 = 4시간
- 시급 : 만원
- 주휴수당 : 4시간 X 만원 = 4만 원
예시 2 - 주 5일 42시간 근무, 시급 만원
월 | 화 | 수 | 목 | 금 |
10시간 (연장 2시간 포함) |
8시간 | 8시간 | 8시간 | 8시간 |
예시 2의 주휴수당 계산법
- 1일 근로시간 계산 : 40시간(연장 2시간 제외) ÷ 5일= 8시간
- 시급 : 만원
- 주휴수당 : 8시간 X 만원 = 8만 원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개산법 마무리
주휴수당 지급기준이 개정되어 많은 자영업자 혹은 기업을 운영하시는 분들이 헷갈릴수 있었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시어서 근무자들에게 지급을 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근무자께서는 본인이 응당 챙겨야할 주휴수당을 자세히 알아보셔서 꼭 지급 받으시길 바랍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정보가 있다면 상단의 글들을 참고해보세요. 이 게시글이 유용했다면 구독, 하트(공감), 댓글을 부탁드립니다.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페이스북
- 트위터
- 다음메일
- 다음카페
URL복사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