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 연차일수 알아보기

by 정보 알림이 에디터2022. 1. 19. 10:30

직장에 다니고 있는 분들이라면 평일 중에 열심히 근무를 하시고 주말을 이용하여 그 동안에 미루었던 일들이나, 여행 등 여가시간을 보내는 생활을 하고 계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실 겁니다. 다만, 살다보면 갑작스러운 일들이 발생 하는 경우가 있어서 반드시 평일에 해야만 하는 일들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에 의하면 직장을 다니고 있는 분들은 연차휴가를 사용을 하실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근무 중인 직장에서 지정한 휴가기간 외에도 일을 하는 중 연차를 사용 할 수 있어요. 

근로기준법 연차일수 알아보기


그렇다면 오늘은 근로기준법 연차일수에 대해 탐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게시물을 모두 읽으면 근로기준법 연차일수를 이해하게 되실 것입니다. 근로기준법 연차일수가 궁금하시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쪽에서 근로기준법 연차일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연차란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연차란, 상시근로자가 5인 이상있는 사업장에서는 의무적으로 유급 휴가를 부여 하여야 합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 60제에 의하여 해당 사업장은 1년간 80퍼센트 출근한 근로자는 15일의 유급휴가를 부여 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1년 미만의 근로자라면 1개월 개근을 하였을 경우 1일의 유급휴가를 지급해야만 합니다. 다만, 연차 유급 휴가제도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소정근로시간이 5주간 평균적으로 1주일에 15시간 미만인 근로자 는 적용 하지 않습니다.

연차 발생기준 조회하기

 

근로기준법 연차일수 발생 기준

근로기준법에 의하면 연차는 다음 조건에 의하여 발생 됩니다.

 

 

 

 

 

  • 1년 동안 80프로 이상 근무 = 15일의 연차 발생
  • 1개월 개근 = 1일의 연차 발생

 

연차휴가 자동계산하기

 

기존 법안에서는 1년 미만의 근로자는 연차가 발생되지 않았었습니다. 그렇지만 현재의 근로기준법은 1년 미만의 근로자 이더라도 매 달마다 개근을 한 사람이라면 1개월 개근에 1일의 연차가 발생하도록 변경 되었습니다.

연차일수 계산기

근로기준법 연차 휴가는 의무적으로 근로자에게 지급함으로써 그 들의 정신적,육체적으로의 휴식을 취하게 하기 위함이고, 문화 생활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

연차가 발생 하는 기간 동안에 지급 받아야 마땅한 연차를 지혜롭게 계산 하셔서 사용 하고 계시는 분들이 있는데 반면, 의외로 연차 계산방법을 정확히 알지 못하여 제대로 계산 하지 못하는 분들이 더러 있다고 합니다. 아래에서 연차일수 계산기를 활용 하시기 바랍니다.

 

연차일수 계산기

 

 

 

 

연차수당 계산기

혹시나 연차를 사용할 기회가 없었다면 구태여 연차를 사용하지 않고 연차수당으로 받을 수 있어요.

또한, 연차수당은 근로자의 연차가 발생한 달을 기준으로 1년이 경과 한 뒤 연차수당이 발생하게 된다면 기존의 연차는 사라지게 되며, 쌓여있었던 연차휴가일수는 소멸하게 됩니다.

 


근로기준법 연차 발생 기준에 의거한 연차가 발생하였지만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이용하지 않고 연차수당으로 받기를 희망 한다면 계산법은 아래와 같아요.

연차수당=연차가 소멸된 달의 통상임금/1개월 근로시간*1일 근무시간 으로 계산 하시면 됩니다. 계산법에서 뜻하는 통상임금이란 매달 급여와 상여금을 12개월로 나눈 금액을 의미 합니다.

혹시라도 위의 연차수당의 계산법이 어렵다고 느끼신다면 "노동ok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연차휴가의 계산이 자동으로 계산  할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 되어 있으며 연차수당 외에도 퇴직금, 통상임금 등도 자동 계산을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요.

 

 

노동OK 홈페이지 바로가기


또한, 사업자가 근로자에게 잔여하고 있는 연차를 사용하여 휴가를 권유 했으나, 근로자가 연차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사업자는 근로자에게 연차수당의 지급할 의무가 소멸하게 됩니다

근로기준법 연차일수 알아보기를 마치며

근로자라면 본인의 연차를 응당 챙겨야만 합니다. 옆에서 누구 하나 가르쳐주지 않기 때문에 손해를 볼 수 있는 정보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으며, 즐거운 직장생활을 하시길 바랍니다. 


근로기준법 연차일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전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게 있다면 상단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공감), 댓글, 구독을 부탁드립니다.

댓글

관리자에 의해 댓글이 비활성화되었습니다.